자세히 보기

By CIOKR Staff

“ IT 및 통신 기업 37%,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서비스 중단을 경험” 뉴렐릭 보고서

뉴렐릭이 'IT 및 통신 업계 옵저버빌리티 현황 보고서(State of Observability for IT and Telecommunications report)'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2023 옵저버빌리티 전망 보고서(2023 Observability Forecast report)와 연계해 423명의 기술 전문직 종사자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IT 및 통신 기업이 직면한 도전 과제는 많은 비용을 야기하는 ‘서비스 중단’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에 다양한 팀 간 협업 및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옵저버빌리티를 도입하고 있다. 옵저버빌리티 도입의 주된 요인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개발(48%) ▲AI 기술 도입(43%) ▲멀티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마이그레이션(40%) ▲고객경험 관리에 대한 집중도 향상(39%) 순으로 많았다. 또한 55%의 응답자가 옵저버빌리티의 협업 및 의사결정 개선 혜택에 주목해 현재 많은 IT 및 통신 기업이 옵저버빌리티의 비즈니스 가치를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타 업계와 비교 시, IT 및 통신 기업은 서비스 중단이 발생하는 빈도가 잦다. 실제로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서비스 중단을 경험하는 비율이 37%로 전체 업계 평균(32%)보다 높다. 또한 연간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야기되는 비용의 중간값은 1,271만 달러(약 175억 167만 원)에 달한다. 이런 결과는 더욱 정밀하고 포괄적인 모니터링 및 신속한 문제 해결 기능이 시급하게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업체 측은 강조했다. 

아울러 복수의 모니터링 툴을 사용하는 비율이 업계 평균(63%)보다 높으며, 2/3 이상(69%)이 옵저버빌리티를 위해 4가지 이상의 툴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엔지니어링팀이 사업의 다양한 측면을 더 잘 이해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서비스 중단 또는 고객 경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너무 많은 툴을 넘나들며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을 소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또한 56%의 응답자가 통합된 단일 옵저버빌리티 플랫폼을 선호하고, 41%는 내년에 서로 다른 툴들을 통합하며 옵저버빌리티 투자를 극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시스템 보안은 모든 산업의 필수 요소지만, 특히 중요 인프라를 운영하는 IT 및 통신 기업에는 그 중요성이 더 높다. 보고서에서는 대부분 응답자(96%)가 2026년 중반까지 보안 모니터링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해 시스템 보안 유지보수가 최우선 과제임을 보여줬다.

뉴렐릭 최고 디자인 및 전략 책임자 피터 페자리스는 “현재 IT 및 통신 업계는 큰 변화를 겪고 있으며, 레거시 인프라를 운영하는 기업이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의 비즈니스와 빠른 속도로 경쟁하기 위해선 기존의 인프라 현대화를 통해 민첩한 디지털 혁신 이니셔티브를 구현해야 한다”라며, “고객은 현재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서비스 수준에서 6G, 엣지 컴퓨팅, AI와 같은 신기술의 이점을 누리길 기대하며, 풀스택 옵저버빌리티는 이런 고위험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를 활용하는 IT 및 통신 제공업체는 진화된 기술로 수익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이라고 말했다.

뉴렐릭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 지역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 크리스 데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5G 시장이 여럿 위치하고 있으며,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IT 및 통신 기업은 지속적인 혁신과 성장에 대한 끊임없는 압박을 받고 있다. 이런 기업은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해 비즈니스를 계속 성장시켜야 하며, 그 핵심에는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측면을 보고,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옵저버빌리티가 있다. 이를 통해 AI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견고하고 비용 효율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궁극적으로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해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