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보안 & 임베디드 가상화 전문기업 쿤텍이 임베디드 가상화 솔루션인 ‘패스트브이랩스(FastVLabs)’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수산ENS와의 협력을 통해 이뤄진 이번 공급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에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 기반의 안전 계통 제어기(PLC)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구축을 지원하게 된다.
이로써 쿤텍은 세계 최초로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 기반의 원전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사례는 독자적인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 중 최고 단계인 레벨 4를 기반으로 한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는 설명이다.
패스트브이랩스(FastVLabs) 사용자 화면
디지털 트윈은 물리적인 자산이나 시스템을 실제 환경과 똑같이 구축한 디지털 복제본을 의미한다. 회사는 원전 분야에 하드웨어 가상화 기반 디지털 트윈을 적용함에 따라 실제 원전계측제어시스템(MMIS, Man-Machine Interface System)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며, 디지털 트윈이 원전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의 충실도를 높였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MMIS는 발전소 전체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운전, 감시, 계측 및 안전 등을 제어하는 통합운전관리시스템이다.
설명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시뮬레이터인 전범위 시뮬레이터(FSS, Full Scope Simulator)는 원전 MMIS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탑재하지 않아 MMIS 분야 직무 종사자가 활용하기에 기능 및 성능 충실도 측면에서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명령어 집합 시뮬레이터(ISS, Instruction Set Simulator) 기술을 활용한 레벨 4 하드웨어 가상화 기반의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가상 환경에서 설계 단계부터 빠르게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방혁준 쿤텍 대표이사는 “디지털 트윈은 가상의 환경에서 시스템에 대한 설계, 검증, 시운전 등 다양한 테스트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원전과 같이 실제 환경에서의 테스트에 제약이 많은 분야에 적용할 경우 많은 장점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쿤텍은 다양한 임베디드 가상화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쌓은 고도화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개발된 패스트브이랩스를 통해 국방, 항공,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디지털 트윈을 공급하고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 및 보안성 강화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최근 한수원과 국내 원전 기업 컨소시엄은 체코 대형 원전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된 바 있다. 쿤텍은 하드웨어 가상화를 통한 디지털 트윈 기술이 향후 추가 원전 수주와 맞물려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했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