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중국 투자 의혹이 제기된 인텔 신임 CEO 립부 탄의 사임을 요구했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자신이 소유·운영하는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인텔 CEO는 심각한 이해충돌 상태에 있으며 즉시 사임해야 한다. 이 문제에 다른 해법은 없다”라고 적었다. 하지만 그는 이 주장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와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테크크런치의 7일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언은 트럼프의 측근이자 아칸소주 상원의원인 톰 코튼이 인텔 이사회에 탄 CEO의 중국 기업 투자 내역을 문제 삼는 서한을 보낸 지 이틀도 채 지나지 않아 나왔다. 특히 논란이 되는 부분은 탄이 과거 이끌었던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Cadence Design Systems)가 중국 수출 규제 위반으로 1억 4,000만 달러(약 1,944억 원)의 벌금을 부과받았던 전력이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4월, 탄이 지난해 팻 겔싱어 전 CEO의 은퇴 이후 CEO직을 맡은 지 한 달 만에 중국 투자와 관련해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핵심 정책 중 하나는 고립주의와 미국 제조업 투자 확대이며, 특히 수익성과 상징성이 큰 반도체 제조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인텔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제정된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의 주요 수혜 기업으로, 오리건 본사 외에도 애리조나, 뉴멕시코에 생산 시설을 두고 있으며 현재 오하이오에 대규모 신규 반도체 공장을 건설 중이다.
그러나 인텔은 지난 7월, 2028~2029년에 양산 예정인 차세대 14A 공정의 고객 확보에 실패할 경우 반도체 제조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할 수 있다고 밝혀 시장을 뒤흔들었다. 실제로 파운드리 사업 전반에서 주요 고객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전 인텔 이사들은 포브스를 통해 민관 합작으로 인텔의 제조 시설을 되사들인 뒤 미국 기업의 구매를 장려하는 ‘오퍼레이션 워프 스피드 II(Operation Warp Speed II)’를 제안했다.
트럼프는 전날 모든 전자제품에 필수 부품인 반도체 수입 관세를 100%로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기업에는 규제를 면제할 수 있다고 시사했으며, 이는 인텔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인텔의 오하이오 신규 공장은 2030년과 2031년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 미국 대기업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행보를 반복해왔다. 수년간 추진돼 온 파라마운트와 CBS의 스카이댄스 미디어 합병은 CBS가 트럼프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후보 간 ‘60 미닛(60 Minutes)’ 인터뷰 이후 제기된 1,600만 달러 소송을 합의한 직후 연방통신위원회(FCC) 승인을 받았다. 이후 CBS는 트럼프를 비판했던 진행자 스티븐 콜베어의 인기 프로그램 ‘더 레이트 쇼(The Late Show)’를 폐지했다.
이번 주 초, 애플 CEO 팀 쿡은 미국 제조업에 1,000억 달러(약 138조 원)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며 트럼프에게 금판을 전달했다. 인텔의 경쟁사 엔비디아는 AI 붐에 힘입어 미국 제조에 5,000억 달러(약 694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대중국 수출 규제는 CEO 젠슨 황이 플로리다에 있는 트럼프의 사저에서 열린 만찬에 참석한 뒤 완화됐다.
최근 사례에서 보듯 트럼프에 협력하는 기업은 사업상 혜택을, 반대로 거부하는 기업은 규제 장벽을 마주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인텔이 이번 사안에서 어떤 보상이나 불이익을 받을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