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틱스 |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 SK텔레콤에서 데이터 과학자로 재직중인 김진철 박사의 칼럼 '김진철의 How-to-Big Data'를 1월부터 연재합니다.
현대인에게 스마트폰은 가장 친밀하면서도 개인적인 기기이다. 항상 곁에서 떨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습관에 대한 정보도 가장 많이 담고 있다. 위치 기록, 구글 검색 히스토리, 웹 브라
스타벅스(Starbucks)가 인공지능 기반 비서를 도입한다. 음성 명령 또는 메시지를 보내 주문할 수 있는 가상의 바리스타를 두는 것으로, 개인화된 고객 서비스의 다음 단계를 구현한다는 구상
익스페리언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서비스, API 기술 덕분에 페타바이트 규모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
AT&T 스마트시티 담당 중역과 시장 조사회사의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교통, 상수, 대기 오염 등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시티 기술 도입이 미국 전역에서 상당히 증가할 전망이다.
S&P 글로벌의 크리슈나 네이든 CIO가 ‘대체 데이터’란 무엇인지, 기업이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우리 시대의 문제는, 미래가 예전의 미래와 다르다는 점이다.”(The trouble with our times is that the future is not what it used to be.) 프랑스의 문학가 폴 발레리(Paul Valery)가 20세기 초반 남긴 이
* 본 기고문은 벤더가 작성한 것으로 네트워크 월드 편집진의 수정을 거쳤지만 일부 벤더의 시각이 남아 있을 수 있다.
2017년의 예측하기에 앞서 셀프 서비스 분석이 대세로 부상해온 지금까지의 흐름과 현재의 상황을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이른바 &lsquo
2016년이 막바지에 접어든 지금, 2017년 기업의 직원 복지가 어떻게 바뀔지도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의 버진 퍼스 과학 자문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