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코드명 윈도우 11 23H2, 차기 윈도우 11 기능 업데이트는 커다란 선물을 가져다줄 예정이다. 바로 AI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1 23H2를 통해 빙챗 기반의 윈도우 코파일럿을 추가해 AI PC의
한국IDC가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개요(2023-2027년): 탄소 정책 및 생성형 AI의 영향’ 보고서를 발간하고 2023년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이 4조 2,549억 원의 시장
오픈AI의 생성형 AI 챗봇인 챗GPT에 음성 인식 기능과 이미지 분석 기능이 추가된다. 아직은 영어만 지원되지만, 다른 언어 번역 기능이 추가될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아마존이 AI 기업 앤트로픽(Anthropic)에 최대 40억 달러(약 5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투자 계약으로 AWS는 앤트로픽의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되며 앤트로픽에 컴퓨팅 인
올인원 비즈니스 메신저 ‘채널톡’을 운영하고 있는 채널코퍼레이션이 AI 팀을 신설하고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연구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클라우드월드 2023에서 오라클은 새로운 API 기반 AI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 23c, MySQL 히트웨이브, 퓨전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및 기타 제품에 대한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그 중심에는 '생
데이터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는 귀중하지만, 한 번의 실수로 인해 평판, 수익, 심지어 생존까지도 위협받을 수 있다. 아래의 분석과 AI 실수 사례는 과연 무엇이 잘못될
오라클이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에 엔비디아 H100 GPU가 탑재된 베어메탈 인스턴스를 지원한다. 생성형AI 수요를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H100와 별개로 올해 말에는 엔비디아 L40S GPU도 출시한
생성형 AI는 지난 10년을 통틀어 가장 중요한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그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이로 인해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플랫폼은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 원문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하는 챗GPT, 클로드(Claude), 바드(Bard)를 비롯한 공용 생성형 AI 챗봇도 충분히 좋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