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커리어 |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열심히 일하는 것이 미덕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프로그래머를 만나 본 적이 없는 사람이다. 그렇다. 열심히 도랑을 파는 사람은 몽상을 하는 사
모든 관리자에게는 부하 직원과 민감하고 어려운 대화를 나눌 일이 생긴다. 쉽지 않은 작업인 것은 분명하지만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채용 인터뷰를 앞두고 있다면, 연습을 고려해보자. 특히 뻔한 질문을 경시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뻔한 질문이 일자리를 안겨주거나, 반대로
기술직 수요는 매우 높다. 하지만 현재 풀타임 IT 일자리를 그만두고 모바일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로 새출발하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 아닌 사람도
필자는 그동안 기업의 정리해고 패키지를 거부하라고 충고해왔다. 내부 인재가 줄어들므로, 회사에 계속 남는다면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 실제로 '남의 돈 천 냥보다 내 수
봇(Bot)이 이제 기업에도 진출하기 시작했다. 기업 환경은 봇 기술이 침투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 봇이 개입할 만한 업무 영역이 발견되기까지
이직을 준비한다면, 분명 어느 시점에 가서는 헤드헌터와 협력하게 될 것이다. 구직 활동에서 헤드헌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면 헤드헌터와의
관리자들이 종종 물어오는 질문이 있다. “가치 있는 IT 직원을 회사에 잡아두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해 “현재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는가?”라고
기술 업계에서는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그 인재가 기업 성공을 좌우할 수도 있는 디지털 인재라면, 더 그렇다.
IT 분야 종사자에게 호시절이다. 다이스(Dice)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기술 직종의 평균 연봉은 9만 6,370달러로 전년 대비 7.7% 상승했다. 다이스가 10년 전부터 데이터를 수집한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