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기술 | 뉴스, 사용법, 기획, 리뷰 및 동영상
좋은 IT 아키텍처는 기업의 기술 전략을 활기차게 만든다. 반면 클루지, 수동 리키잉(Re-Keying), 중복된 앱 등은 IT 환경이 붕괴 위기에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다.
공상 과학 영화의 단골 소재였던 증강현실(AR)이 일상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 아직 대중적으로는 포켓몬 고의 근간 기술 정도로 알려진 AR이지만, 현실 환경에 시각적 데이터를 덧입힌다는 AR
스마트시티에 관한 이야기는 많다. 그러나 이를 실천하는 도시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뉴욕은 이런 예외에 해당하는 도시다. 뉴욕은 시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이 탄생한 2008년 유명해진 이래 온갖 유행어의 끝판왕으로 자리매김했다. 내부 회의와 컨퍼런스 센터에서 불쌍하고 순진한 기술
CPU 아키텍처의 미래를 예측할 때 어떤 업계 전문가들은 흥미진진할 것이라고 하고 어떤 이들은 재미없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무도 2년마다 속도가 2배로 늘어나던 옛날로 돌아갈 것이
미디어몽크의 테크니컬 디렉터가 측정과 적용, 보정 과정을 통해 실제 세계를 가상 공간과 매핑시키는 방법에 대해 공유했다. 2017
처음 현실화되는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는 아마 방을 가득 메우는 크기에 기존의 규모를 뛰어넘는 냉각 장치, 믿기 어려운 가격을 보일 것이다. 이로 인해 양자 컴퓨터만의 능력을 활용
앱 래핑(App wrapping)은 이메일 앱이나 기업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앱 등 모바일 앱에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이를 이용하면 앱의 인터페이스나 기능을 바꾸지 않고도 기업 데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이 그저 게임에, 혹은 그럴듯해 보이는 쇼에나 쓰이는 알맹이 없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직도 적지 않다. 하지만 곧 아주 중요한 변화가 시작된다. 내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