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전략 |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대부분 기업 경영진은 인공지능(AI)을 미래로 보고 있으며 많은 기술 리더는 챗GPT를 AI와 동의어로 여긴다. 그러나 오픈AI의 대표적인 프로젝트 챗GPT가 유일한 LLM(Large Language Model)은 결코 아
조직에 해악을 끼치는 직원이 특정 업종에만 존재하지는 않을 터다. 하지만 IT 분야에서 볼 수 있는 고유한 문제sk 문제 직원들도 있다.
예상과 대비가 없다면 혼란이 뒤따른다. 지금 놀라움과 혼란의 중심에 있는 생성형 AI다. 상상 속에나 존재했거나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것이, 이제는 현실이 됐다. 하루아침에 세상이 달라
“개발팀 내외로 정보를 전달하는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얼굴을 맞대고 하는 대화다.” - 애자일 선언문
윈도우에 내장된 '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줄여서 DISM 명령줄 툴은 윈도우 이미지 파일 형식(.wim)을 기반으로 윈도우 이미지를 만들고 관리하는
생성형 AI와 관련한 이야기가 무성하다. 뒤쳐지고 있는 듯한 불안감이 들 수 있다. 그러나 어쩌면 호들갑을 떨 일이 아닐 수 있다.
LCNC(low-code, no-code) 플랫폼을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도모할 수 있을까? 가능한 이야기다. 단 경우에 따라 다르다. 경우별로 살펴본다.
SK그룹의 디지털 광고 전문기업 인크로스RK ‘2023 상반기 마케팅 트렌드 결산’ 리포트를 발표했다.
깎아내리려는 의도는 없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는 새로운 윈도우 소프트웨어를 발견하기 즐거운 장소가 아니다. 워드, 어도비 포토샵, 줌 같은 앱이 전면을 장식한 마이크로소프
요즘 CIO의 주요 책무 중 하나는 데이터 무결성이다. 전략적 비즈니스 결정을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가 안전하고 정확해야 한다. IT 부서와 CIO가 궁극적으로 이에 대한 책임을 지는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