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기업의 AI 성숙도 하락이 진보의 신호인 이유

오피니언
2025.06.276분

AI 페이스세터가 말하는 AI 접근 방식에서 중요한 7가지 실천 단계를 소개한다.

Rachael Sandel, CIO, Orica, 2025 ServiceNow Pacesetter Award
Credit: ServiceNow

서비스나우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가 공동 발표한 ‘2025 기업 AI 성숙도 지수’ 보고서의 핵심 결과는 언뜻 보기엔 의외다. 100점 만점 기준으로 AI 성숙도 평균 점수가 전년 대비 9점 하락한 것이다. AI에 대한 관심과 투자 열기가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상황에서 어떻게 기업의 AI 성숙도 지수가 퇴보할 수 있단 말인가?

이유는 공감할 만하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AI의 발전 속도는 너무 빠르고, 대부분 기업은 이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2022년 오픈AI가 생성형 AI를 세상에 알린 데 이어, 2024~2025년에는 AI 에이전트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제는 에이전틱 AI가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동시에, 복잡한 AI 기술과 검증되지 않은 파일럿에 대한 불확실성, 기본적 사용 사례의 한계가 맞물리며 전 산업군에서 기업의 진입을 가로막고 있다. 기업이 신중해지고 보수적으로 움직이는 이유다.

그러나 불확실성을 해답을 찾을 기회, 그리고 호기심과 탐험, 상상력을 발휘할 계기로 삼는 리더도 있다. 이들 IT 리더는 더 빠르게 움직이고 기존 가정을 의심하며, 대담하고 야심 찬 파일럿을 시도하고자 한다. 덕분에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보다 강력한 AI 사용례와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동인을 확보하게 된다. 서비스나우는 이들 진보적 리더를 ‘AI 페이스세터(AI Pacesetter)’라고 부른다.

AI 페이스세터는 AI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에 허덕이는 다른 기업과 달리, AI의 잠재력을 깊이 이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기업은 2024년에 몇 가지 지역 AI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성숙도가 높아졌다고 느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AI 에이전트와 에이전틱 AI처럼 새로운 발전이 등장하면서 AI의 무한한 가능성과 학습할 거리, 그리고 자사가 아직 모르는 영역이 얼마나 넓은지를 체감하게 됐다.

AI 성숙도가 낮아졌지만, 이 상태가 계속되지는 않는다. AI 페이스세터는 이미 AI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있으며, 진정한 전환을 이루기 위한 여정에 돌입했다. 이들 기업은 지금 당장 다른 기업들이 참고할 수 있는 실용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AI 성숙도의 높낮이가 갖는 의미

이번 조사는 다음 5가지 AI 성숙도 축을 기준으로 기업을 평가했다.

  • AI 전략 및 리더십
  • 업무 흐름 통합
  • 인재 및 인력 구성
  • AI 거버넌스
  • AI 투자 수익 실현

AI 성숙도의 초기 단계는 기업이 AI를 이해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모색하는 수준이며, 성숙 단계는 AI를 통한 혁신과 전환적 투자를 핵심 비전으로 삼는 상태를 말한다.

2025 기업 AI 성숙도 지수에서 나타난 성숙도 하락은 기업 전반이 빠른 변화 속도를 따라잡기 어려워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데이터 분석과 기업 인터뷰를 통해 확인된 사실은 기업이 제한된 사용례와 선도 기업의 사례 부족으로 제약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대부분 기업은 여전히 AI 성숙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성숙도 하락은 또 하나의 현실 인식을 반영한다. AI에 대한 끊임없는 과대광고 속에서 모든 기업은 마치 자사가 AI 활용 전략을 명확히 알고 있는 것처럼 행동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았다. 하지만 AI 기술은 계속 진화하고 에이전틱 AI가 새로운 가능성을 개척하면서 오히려 “AI로 무엇을 해야 할지 정확히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

이 모든 상황이 주는 긍정적인 메시지도 있다. 지금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성장을 위한 시간은 충분하다는 점이다.

AI 페이스세터에게 배우기

AI가 삶과 일, 비즈니스,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누구나 알고 있다. 동시에 이 가능성을 실현하려면 해야 할 일이 많다는 점도 분명하다. 그렇다면 경영진은 무엇을 해야 할까? 일부 기업은 AI 성숙도에서 더 앞서 있으며, 다른 기업이 참고할 수 있는 실용적인 로드맵을 제공한다. 이들 AI 페이스세터는 평균보다 9점 높은 성숙도를 기록했고, AI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 경험, 업무 효율성, 혁신 속도 면에서 뚜렷한 개선 효과를 얻었다.

페이스세터가 무엇을 다르게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오리카(Orica)의 그룹 CIO 레이첼 샌델과 이야기를 나눴다. 샌델과 오리카의 팀은 최근 AI 혁신을 주도한 공로로 서비스나우의 ‘2025 페이스세터 어워드’를 수상했다. 샌델은 오리카의 AI 접근 방식에서 중요한 7가지 실천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1. AI 전략은 기존 기술 및 혁신 전략과 통합해 정렬하라. AI 전략을 별도로 수립하기보다, 기술 로드맵에 정렬해 AI를 다양한 기술 영역과 기능에 녹여야 한다. 이런 정렬이 안전성, 생산성, 지속가능성 등 기업의 공동 목표 달성을 뒷받침한다.

2. AI 도입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기술 플랫폼을 현대화하라.

3. 핵심 AI 책임과 전문성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별도 AI 조직을 구성하라. 다양한 사업 부문을 대표하는 전사적 AI 센터를 구성하고, 아이디어 평가 및 우선순위 설정 등 리더십 기능을 수행하게 하라. 고위 경영진으로 구성된 AI 위원회를 통해 위험, 정책, 이니셔티브, 의사결정을 총괄하라.

4. 기업의 핵심 가치와 이에 부합하는 원칙과 지침을 설정해 거버넌스를 우선시하라. 그룹 표준과 리스크 관리 관점을 포함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AI 센터, AI 위원회, 내부 감사 등 3중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라.

5. AI 인재를 육성하라. 호기심 많고 적응력이 뛰어난 인재를 채용하고, 교육 및 재교육 기회를 제공하라. AI 센터에 역량을 집중하고, 인재 변화와 경영 변화도 함께 추진해 기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라. 새로운 기술과 협업하고, 변화된 업무 방식과 운영 모델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하다.

6. AI 에이전트의 미래를 상상하고 준비하라. 파일럿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AI 에이전트를 비즈니스 시스템에 통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현재 가치를 입증하라. 동시에, AI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변화시키고, 에이전트가 사람과 함께 업무를 수행하며, 플랫폼과 데이터를 넘나들고, 다른 에이전트와 협업하는 미래에 대비하라.

샌델이 설명한 단계는 기술, 인재, 거버넌스, 리더십 전반에 걸쳐 견고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단계를 따를 경우, 기업은 AI의 잠재력을 온전히 활용하면서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 혁명의 위험과 복잡성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I 전략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으로

현재 대부분 기업은 익숙한 전략에 AI를 추가하는 방식에 머물러 있다. “AI를 업무에 어떻게 적용할까?”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작업을 요약하거나 더 관련성 높은 결과를 제시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고객센터 콜을 줄이거나 공급망을 최적화하거나 협력사나 직원 온보딩을 개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같은 질문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샌델과 오리카 팀은 이런 현상 유지 중심의 접근을 넘어서고자 한다. 이들은 진짜 문제 해결, 전환 주도, 비즈니스 효과 창출을 목표로 삼는다. AI는 기업 비전을 실현하는 수단이어야 하며, AI 자체가 목적이 되어선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비전 있는 비전’을 수립하고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더 큰 전략을 상상할 때는 모든 것을 다시 질문하고, 진정한 전환 없이는 AI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진정한 전환은 기업 내부에서부터 시작된다. 단순히 ‘비전을 갖는 것’과 ‘비전이 있는 존재가 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후자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뿐만 아니라 ‘왜 해야 하는가’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는 자세다. AI 성숙도 여정에서 어디에 도달할지는, 오늘의 프레임을 넘어 AI로 업무를 확장하고 새로운 혁신 수준을 여는 데 달려 있다.
dl-ciokorea@foundryco.com

Dave Wright

As chief innovation officer at ServiceNow, Dave Wright is a visionary exploring how AI and emerging technologies are reimagining business and work. A passionate advocate for human-centered workplace innovation, Dave empowers organizations to harness technology for breakthrough results: enhanced productivity, streamlined operations, cost optimization and superior employee and customer experiences. His future-focused approach has established him as a leading thought leader in business transformation.

이 저자의 추가 콘텐츠

Brian Solis

Brian Solis is the author of "Mindshift: Transform Leadership, Drive Innovation and Reshape the Future," and head of global innovation at ServiceNow. He is a world-renowned futurist, keynote speaker and award-winning author of over 60 research publications and nine books that explore disruptive trends, corporate innovation, business transformation and consumer behavior. His insights on the future of technology and business trends have made him a go-to resource among executives, media and market experts for visionary thought leadership to drive new business value.

이 저자의 추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