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기술적 대응 중에서 가장 돋보이는 화두는 역시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실제로 유난히 특이했던 올해에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
연말까지 아무 생각 없이 지내려던 찰나에 구글의 중대한 인수 건이 터졌다. 겉으로는 시시해 보일지 모르지만 구글의 영토가 확장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는 사건이다.
트위터가 내년 초 봇 계정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계정에 변화를 줄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자동 봇 계정이 생성하는 대규모 트윗에 대한 지적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원격근무 확산으로 클라우드 기반 협업 도구 및 화상회의 플랫폼 사용량이 급증했다. 그 결과 기업은 보안, 컴플라이언스, 비용, 시스템 통합 문제에 직면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문제를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 앱 '페리스코프(Periscope)'가 16일(현지 시각) 2021년 3월에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페리스코프는 트위터가 지난 2015년 인수한 온라인 생중계 서비스다.
구글이 15일(현지 시각) 구글 포토 앱(Google Photos)의 메모리즈(Memories)에 몇 가지 기능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기능은 다음 달에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시스코(Cisco)가 비디오폰(video phone)을 향해 나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반면에 AR 및 VR 협업플랫폼 아서(Arthur)는 혼합현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 사이 어딘가에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의 미
미국판 '배달의 민족'으로 꼽히는 음식배달 전문업체 도어대시(DoorDash)가 9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다. 지난달 13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 신고서를 제출한 지
소프트뱅크가 스웨덴의 클라우드 기반 고객 인게이지먼트 업체 '신치(Sinch)'의 지분 10.1%를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CRM 솔루션 업체인 세일즈포스가 1일(현지시간) 협업 소프트웨어 업체인 슬랙을 약 277억 달러(한화 약 30조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지난달 25일 인수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