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빅 아이디어(big idea)은 기업의 보도자료나 CEO의 발표, 마케팅 캠페인에서 흔히 존재하지만 현실 속 운영 아젠다에는 빠져 있는 경우가 많다.
19세기 프랑스 소설가 빅토르 위고는 “군대가 침투하면 사람들은 저항하고; 아이디어가 침투하면 사람들은 저항하지 않는다”고 적었다. 하지만 분명 그렇지 않은 측면이 있다. 그 동안의 연구와 관찰에서 절실하게 깨달은 사실은 조직에서 빅 아이디어의 침투가 거의 멈춰있는 듯 보였다는 점이다.
언론 보도자료, CEO의 성명서, 마케팅 캠페인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여러 빅 아이디어가 현실 운영 아젠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가 뭘까. 왜 많은 경우 이들은 일상과 분리되어 있을까? 왜 빅 아이디어를 연구하고 포장하는데 수많은 시간을 쓰는 조직들이 말과 행동을 일치시키는 데는 시간을 왜 그렇게 적게 쓸까? 여기 IT 부문이 생각에 그치지 않고 현실 운영에 반영해야 할 빅 아이디어 9가지를 정리했다.
빅 아이디어 #1: 자신의 경험에 매몰되지 말라
공감은 아주 중요하다. IT 부문은 최종 사용자의 경험을 진정으로 신경 써야 한다. 만약 사용자 문제에 대한 훌륭한 솔루션이라 생각하는 아이디어를 사람들에게 제시했을 때 부정적 반응을 받았다면 이는 훌륭한 솔루션은 아니다. 그리고 당신은 사용자 관점에서 무엇이 훌륭한지에 대해 사용자의 말을 들어야 한다. 이는 쉬운 일이 아니다. 위대한 철학자 중 한 명인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이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반복적으로 이야기했다.
빅 아이디어 #3: 전문가들이 늘 전문가인 것은 아니다
혁신은 종종 입문자의 관점에 온다. 다양한 경험 수준에 경청해야 할 이유다. 특히 요즘과 같이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는 전문가의 함정에 빠지기 쉽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빅 아이디어 #3: 모든 것을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 사람이 알기는 너무 많은 것이 존재하다. 모른다고 자책할 일이 아니다. IT 부분은 분명 무언가 알아야 하지만 최선은 당신 분야의 리더를 통해 아는 것이다. 당신이 모르는 분야를 아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키워야 한다. 당신의 인맥이 힘이다.
빅 아이디어 #4: 조직이 준비돼 있어야 한다
1993년 애플 뉴턴이 출시했을 당시 모바일 컴퓨터에 준비된 기업과 임원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2007년 애플 아이폰 출시 이후 바뀌었다. 빅 아이디어에 대응해 행동할 수 있도록 조직을 준비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마련해야 한다.
빅 아이디어 #5: ‘위대함’는 상대적이다
싱귤러리티 대학은 ‘빅 아이디어’에 대해 10년 내 10억 명의 사람들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빅 아이디어란 부서 관리자의 구매 권한 이상의 모든 것이라고 정의하는 기관도 있다. 당신의 조직은 ‘위대함’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빅 아이디어 #6: 빅 아이디어 모두가 지속적이지는 않다
어떤 비용이 얼마나 필요할지, 어떤 이니셔티브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를 아는 것은 결정을 위한 핵심 요소다. 투자는 지속 가치에 비례해야 한다. 실수는 나쁜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식민지 산업화 시대에 영국은 전세계에 철도와 철도역을 구축했고 이를 미래의 상징으로 생각했다. 이들 철도역의 상당수는 현재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빅 아이디어 #7: 몇몇 빅 아이디어는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할 뿐이다
‘종이 없는 경제’는 지난 30년간 달성되지 못한 ‘빅 아이디어’이다. 이게 나쁜 아이디어라는 의미는 아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는 완전 달성은 아니지만 종이 없는 세상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그 목표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2012년 맥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는 수치들을 종합해 만약 우리가 종이(와 이메일)을 없애고 슬랙, 자이브, 야머, 채터, 구글 앱스 등 실시간 적 협업 형태로 이동할 경우 생산성이 25% 커질 것으로 결론 내렸다.
빅 아이디어 #8: 현재 상태가 완전히 엉망인 것은 아니다
우리가 현재 하는 모든 일이 송두리째 부정당할 것은 아니다.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오래된 지혜와 새로운 지혜가 훌륭하게 혼합된다”라고 이야기했다. 오늘날 기업에는 수많은 지혜가 떠다니고 있다. 여전히 중요한 지혜와 프랙티스를 받아들이고 보존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버리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빅 아이디어 #9: 위대한 생각은 종종 ‘나쁜’ 생각에서 시작한다
수백 년 전에는 숙제가 ‘아이들을 괴롭히는 죄악’으로 묘사됐다. 당신의 내일을 규정 지어가는 빅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Thornton A. May 는 연사이자 교육가, 컨설턴트로 활약 중인 미래학자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