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By CIOKR Staff

“AI 및 자동화 도입으로 3년 간 인력의 40% 재교육 필요” IBM, 경영진 대상 조사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경영진은 AI와 자동화 도입의 결과로 향후 3년 간 인력의 40%가 재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IBM 기업가치연구소(IBV)가 최신 글로벌 조사 연구에서 밝혔다.

세계은행(The World Bank)에 따르면 전 세계 노동 인구는 약 34억 명으로, 이는 약 14억 명이 단기간에 재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국내 경영진이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도 40%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조사에서 국내 임원들이 꼽은 가장 중요한 인사 관련 문제는 ‘기존 직원의 새로운 역량 개발’이었다. 이와 함께, ‘급변하는 직원들의 요구’가 두 번째로 중요한 인사 문제로 꼽혔다. 반면, 글로벌 임원들은 ‘기술 문맹’을 두 번째로 꼽았다.

‘AI 기반 자동화 세상에서의 업무 증강’ 연구에 따르면 모든 직급의 근로자가 생성형 AI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다국적 기업 경영진의 77%는 초급 단계의 직급에서는 이미 이 기술의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임원이나 고위 관리직에서 이 기술의 효과를 보고 있다고 답변한 경영진은 22%에 불과했다.

한편, 이 연구는 고용주와 직원 사이에 직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AI가 좀더 많은 수동적이고 반복적인 업무를 맡을 준비가 되어 있는 가운데, 아태 지역에서 설문에 참여한 직원의 46%는 ‘영향력 있는 업무에 참여하는 것’이 보상과 고용 안정성을 넘어 유연한 근무 방식, 성장 기회, 재정적 형평성보다 더 중요한 요소라고 답했다. 그러나, 조사에 참여한 국내 경영진 중 과반수 이상은(52%) 직원들에게 ‘성장 기회’가 보상과 고용 안정성을 넘어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답변했다.

한국IBM 컨설팅 김현정 대표는 “AI가 기업의 모든 분야에 도입되면서 어제의 인재로는 내일의 기업을 운영할 수 없으며, 내일의 인재에게 어제의 업무 방식을 강요할 수 없다”라며, “HR 리더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업무를 재설계하며, 조직을 미래로 이끌어 나가는 데 앞장서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리더가 AI 시대에 인재 문제를 해결하고 조직이 혁신할 수 있도록 취할 수 있는 조치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기술 및 운영 모델에 중점을 둔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