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Jennifer Lonoff Schiff
By Jennifer Lonoff Schiff

IT 프로젝트 매니저들이 지목한 ‘7가지 소망’

기획
2013.10.144분

IT 프로젝트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와 관계된 소망이 무엇인지 물었다. 다음은 IT 프로젝트 매니저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7가지 소망

소망 1: 프로젝트에는 시작부터 참여. 비즈니스 개선 방법을 조언하는 경영 컨설팅 회사인 트리센셜(Trissential)의 체트 앤더슨 프로그램 매니저는 먼저 “성공을 위한 상태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프로젝트 시작부터 참여를 해, 자원을 정확히 계획하고, 정확한 추정을 하고, 정확한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베테랑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벤더들을 참여시킴으로써 기대치를 충족하는 방법을 알고 있고, 이들을 RFP, 벤더 선정, 계약 조건에 참여시키는 것이 성과를 창출하는 데 중요하다는 사실을 경영진이 알아주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소망 2: 완벽한 프로젝트 팀을 준비, 유지하기. 컴퓨터웨어 체인지포인트 비즈니스 디비전(Compuware Changepoint Business Division)의 제프 잭슨 개발 담당 부사장은 “특정 시점에서 가용한 기술과 인력을 이해하고 있다면, 프로젝트의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완벽한 팀을 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소 기업을 대상으로 IT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는 SWC 테크놀로지 파트너스(SWC Technology Partners)의 커스텀 소프트웨어 솔루션 부문 마리 베스 레스 프로젝트 매니저도 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나는 항상 전담 자원을 갖는 것을 희망해왔다. 이는 자원 교체나 증가 시간을 줄여줌으로써 프로젝트를 일정 내에 완료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라고 설명했다.

소망 3: 강력하지만 사용하기 쉬운 프로젝트 관리 툴. 잭슨은 “나는 매 분기 실적 보고 때마다 직면하는 악몽을 없애줄 ‘마법 지팡이’를 소망한다. 현재는 여러 스프레드시트, 서로 상충되는 데이터, 잘못된 정보, 보고 일정 미준수라는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 모두를 한 곳에서 확인하고, 프로젝트가 궤도를 벗어나기 시작하면 즉시 대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네트워크 서버 어플라이언스 공급업체인 MBX 시스템스(MBX Systems)의 다니엘 쿠슈너 프로젝트 관리자는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보면, 프로젝트 관리자라면 누구나 대형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공유된 자원을 가지고 계획을 수립하고, 일정에 맞춰 업무를 추진하고, 협력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원한다. 그러나 여러 독자 개발 또는 써드파디 솔루션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장벽이 될 수 있다. 기존 시스템과 중복되는 부분이 많은 새 솔루션에 투자를 하고 싶어하는 회사는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프로젝트 관리 솔루션 공급업체인 앳태스크(AtTask)의 브라이언 닐슨 작업 관리 전문가는 “팀 전체의 가시성을 높이는 것이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아주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닐슨은 “IT 프로젝트 관리자가 자신의 직원들이 하고 있는 일을 알지 못한다면, 추가 업무를 배정해야 하는지, 일이 진척되고 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하나의 장소에서 프로젝트를 유지시키는 클라우드 툴의 경우, 팀 전체가 프로젝트의 세부 업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매일 이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망 4: 확실한 프로젝트 목표와 요구사항. 디지털 e시큐리티 인터내셔널(Diligent eSecurity International)의 프로페셔널 서비스 담당 에드워드 R. 존스 디렉터는 “명확한 또는 일반적인 목표나 산물에 대한 요건 없이 시작되는 IT 개발 프로젝트가 많다. 이는 이후 지뢰가 되기 쉽다”고 말했다.

그는 “물론 일부 불확실성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하는 상황도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관리자가 이를 인식해 나중에 이를 재정립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소망 5: 이해관계자와 최종사용자의 지지. 래스는 “또 다른 소망은 우선순위와 중요 의사결정을 검증해줄 핵심 이해관계자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예산과 계획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물론, 가장 중요한 결과물을 시간 내에 전달하도록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인 마크 칼라브리스는 “요구 받은 변경 사항과 관계된 위험에 대해 의견을 나눌 후원자, 이런 위험을 인식한후 프로젝트를 계속 추진할 때 이를 책임져줄 후원자가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고 말했다.

고객 기술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회사인 크로스콘(Croscon)의 설립자이자 대표인 코리 크로스랜드는 “최종 사용자가 프로세스에 참여를 하지 않고, 가장 필요한 시기에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것만큼 좋지 않은 일이 없다. 올바른 이해관계자를 찾아 참여시키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말했다.

소망 6: 존중. 앤더슨을 비롯한 많은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사람들이 프로젝트 관리자를 기업이 목표하는 바를 달성해 줄 수 있는 독특한 자격과 경험을 갖춘 리더로 인식해주기를 희망하고 있다.

앤더슨은 “프로젝트 관리자를 고도로 숙련된 비서 정도로 활용을 해서는 안 된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직접 관리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동기와 활력을 부여할 수 있는 고급 역량을 갖춘 리더들이다”고 강조했다.

소망 7: 필요 시 프로젝트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 크로스랜드는 “프로젝트를 완벽하게 계획했다고 하더라도 매번 위험과 난관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장기 프로젝트의 경우 사업과 사업 요건이 자신도 모르게 바뀌는 상황이 있다. 좋은 프로젝트 관리자라면 여기에 신속하게 대응을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앤더슨은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필요에 따라 프로젝트 접근 방식을 조정할 수 있도록 허가해야 한다. 이때 불필요한 프로세스나 점검표로 부담을 지워서도 안 된다. 경험 많은 프로젝트 관리자라면 적절한 관리 기법을 적용해 최적의 팀 성과를 달성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이런 인재를 채용했다면, 프로세스를 많이 통제할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