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Moira Alexander
Contributing writer

기고 |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선택시 유의 사항

어떤 프로젝트 방법론을 채택하느냐가 성공을 좌우한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복잡성을 관리하는 수많은, 때에 따라 중복되는, 접근법들 가운데 어떤 프

프로젝트 매니저(PM, project managers)는 위험을 줄이면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이행하는 방법을 개선하며 조직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조직의 우선순위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각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이 최고의 긍정적 효과를 어떻게 거둘 수 있는지, 그리고 이들이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어떻게 훼손할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여기서는, 오늘날 실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Project Management Methodologies, PMMs)을 소개하고 프로젝트와 조직에 가장 잘 맞는 방법론을 어떻게 규명할지를 설명한다. 우선 적절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평가하고 선택하는 프로세스가 개발되면 이는 문서로 만들어져 반복될 수 있고, 따라서 프로젝트를 조직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고민하면서 허비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프로젝트 목표와 결과물을 달성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폭포수:
 폭포수(Waterfall)는 여러 해 동안 주류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이었다. 이는 본질상 순차적이고, 여러 산업에 걸쳐 통용되지만, 소프트웨어 개발 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된다. 이는 특정한 순서로 실행되는 정적 단계들(Static Phases)로 구성된다. 즉 요건 분석, 설계, 테스팅, 구현 및 유지관리이다. 폭포수는 각 단계에 걸쳐 제어의 증가가 가능하지만, 프로젝트가 이미 진행 중인 상황에서 프로젝트 범위가 변경될 때 유연성이 극히 떨어진다. 이는 정형적인 계획 단계를 제공하여 모든 프로젝트 요건들을 미리 포착할 확률을 높일 수 있어, 초기 단계들에서 핵심 정보와 요건을 놓치는 일을 줄여준다.

애자일: 애자일(Agile)은 현저히 상이한 프로젝트 관리 접근법을 취한다. 원래 다대한 유연성과 속도를 요하는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되었다. 그래서 애자일은 짧은 구축 주기들, 즉 스프린트(sprints)로 구성된다. 애자일은 자발적 팀 환경에서 적은 통제와 실시간 소통을 요하는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하다. 하나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으로서 애자일은 고도로 인터랙티브하여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신속한 조정을 허용한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문제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고, 테스팅 완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개발 프로세스에서 변경을 조기에 이행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애자일은 반복 가능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위험을 줄이고, 즉각적 피드백을 허용하고, 빠른 방향 전환을 제공하고, 복잡성을 줄인다.

하이브리드: 대다수 팀이 폭포수나 애자일 중 어느 하나를 선호하겠지만, 두 접근법의 장점을 모아 하이브리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만들 수도 있다. 계획 및 요건 단계에서는 폭포수 접근법을 취하고 설계, 개발, 이행, 평가 단계에서는 애자일 방법론을 추종하는 식이다.

크리티컬 패스 분석법: 크리티컬 패스 분석법(Critical Path Method, CPM)은 상호 의존적 활동들로 구성된 프로젝트를 위한 계단식 방법론이다. 이는 활동 목록을 포함하고, 작업분할구조(Work-Breakdown Structure, WBS)와 완수까지의 타임라인을 이용한다. 그리고 여기에 의존성, 중간산출, 결과물이 가미된다. 어떤 활동이 중요하고, 어떤 활동이 그렇지 않은지를 결정하기 위해, 작업들을 완수하는데 걸리는 ‘최장’ (크리티컬 패스 상) 및 ‘최단’ (유동적) 시간을 계산하여 중요 및 비-중요 활동을 계획한다.

크리티컬 체인 프로젝트 관리: 크리티컬 체인 프로젝트 관리(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CCPM)는 프로젝트 활동이 아닌 자원 이용에 치중한다는 점에서 크리티컬 패스 분석법(CPM)과 구분된다. 자원과 관련된 잠재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버퍼들(buffers)을 가설하여, 프로젝트를 일정대로 진행하고 안전이 훼손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식스 시그마: 식스 시그마는 원래 낭비를 제거하고 프로세스와 수익을 제고하기 위해 모토롤러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는 데이터 주도적이고, 3가지 핵심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즉 DMAIC(정의, 측정, 분석, 개선 및 통제), DMADV(정의, 측정, 분석, 설계, 검증), 그리고 DFSS(식스 시그마를 위한 설계)이다. DFSS(Design for Six Sigma)는 이전 선택지들과 아울러 IDOV(식별, 설계, 최적화, 검증)과 같은 다른 선택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방법론으로서의 식스 시그마를 둘러싸고 프로젝트 관리 커뮤니티에서 이따금 논쟁이 벌어진다.

스크럼: 럭비에서 유래한 명칭인 스크럼(Scrum)은 애자일 프레임워크의 일부이고, 역시 인터랙티브한 성질을 갖는다. ‘스크럼 세션(Scrum Sessions)’ 또는 ‘30일 전력 질주(30-day Sprints)’는 우선순위 작업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스크럼 마스터(Scrum Mater)가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 대신 사용되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작은 팀들이 조직되어 독립적으로 특정 작업에 집중하고, 이후 스크럼 마스터와 만나 경과 또는 결과를 평가하고 잔여 작업의 우선순위를 재설정한다.

기타: 위 서술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외에도 고려해야 할 다른 PMM이 있다. 예컨대 이벤트 체인 방법론(Event Chain Methodology, ECM), 크리스탈(crystal), 특성 지향 개발(Feature Driven Development, FDD), 동적 시스템 개발(Dynamic Systems Development, DSDM), 적응형 소프트웨어 개발(Adaptive Software Development), 래셔널 통일 프로세스(Rational Unified Process, RUP), 린 개발(Lean Development, LD), 프린스2(Prince2) 등이다.

심지어 한 조직 내에서조차 모든 사례에 통용되는 하나의 만능 해법은 존재하지 않음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젝트 관리 경험이 중요하고, 여기서 프로젝트 매니저는 각 방법론의 장단점에 대한 지식을 앞세워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데 조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프로젝트 방법론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방법
각 프로젝트에 맞는 정확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평가하고, 문서로 작성하고, 선택하는데 따른 프로세스는 처음에는 세부적이고 시간 소모적이고 복잡하지만, 결국에는 그만한 가치를 발휘한다(가장 적절한 PMM을 선택했다면).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연구소(Project Management Institute, PMI)는 조직 프로젝트 관리 성숙 모형(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 OPM3)이라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표준을 개발하였다. 이는 조직이 PM 역량을 규명하고 측정하고 제고하는데, 그리고 프로세스를 표준화하는 데 유용하다. 이는 성공적 프로젝트 성과를 고착화하고, 궁극적으로 우수 관행을 정립하고, 전략적 계획 및 실행 사이의 연계를 강화하는데 기여한다. OPM3는 전반적 조직 전략 효율에 주안점을 두고,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관리를 융합한다. 2013년 미국국가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는 이를 미국 국가 표준(American National Standard)으로 인정하였다.

프로젝트 관리 연구소(PMI)는 ‘조직 프로젝트 관리의 이행: 실무 가이드(Implementing 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A Practice Guide)’에서 각종 프로젝트에 맞는 방법론을 결정할 때 조직이 신중하게 평가하고 이용해야 할 PMM을 테일러링(tailoring)하는 고급 프로세스들을 논의한다. 아울러 전략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PMI 방법론 테일러링 프로세스(PMI Methodology Tailoring Process)에 나온 요소들 역시 고려해야 한다.

조직 프로젝트 관리의 혜택
기업이 OPM3를 도입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OPM3의 최대 목표가 성공적인 전략적 합치를 달성하는 것이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성과는 이 합치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조직들은 생산성 및 고객 만족을 고취하고, 경쟁 우위를 달성하고, 원가 관리 및 소통을 높이고, 실적을 예측하기 위해 특정 프로젝트에 대해 적절한 방법론이 적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고위급 계획 세션(High-Level Planning Sessions)에 기업 프로그램 관리실(Enterprise Program Management Offices, EPMOs)을 포함시켜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는 전사적 목표와의 합치를 지원할 뿐 아니라 의사 결정을 강화하고 촉진할 것이다.

PMM은 저마다의 강점과 약점이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고유한 성질, 조직의 구성, 프로젝트 목표에 따라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다중적으로 채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어떤 식으로든, 조직은, 여러 요인의 변화에 따라 정교해질 수 있는, 표준화된 모범 관행(Standardized Best Practices)을 개발해야 한다. 여기서, 핵심은 특정한 프로젝트가 전사적 목표들에 어느 정도 합치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일단 성공 또는 실패 기준이 구분되면, 소망하는 사업 결과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도달하는데 기여할 가장 적절한 방법론 또는 방법론들을 찾기가 더 쉬워진다.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들
방법론을 평가할 때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여러 요인 가운데 일부를 나열한다.

• 조직의 전략 목표 및 핵심 가치
• 핵심 비즈니스 추동 요인
• 제약
• 이해관계자
• 위험
• 복잡성
• 프로젝트 규모 및 비용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평가 프로세스
일단 평가 기준이 결정 시의 요소로 포함되었다면 특정 프로젝트를 위한 최고의 PMM 선택지를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개발해야 한다. 이 프로세스는 비즈니스 및 이해관계자 요구의 변화에 따라 재고되고 수정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몇 가지 일반적 단계들을 나열한다.

•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와 우선 사항을 규명하고 평가하며 프로젝트 추동 요인을 결정
• 프로젝트 추동 요인, 요건, 및 목표를 결정했다면, 한 방법론이 영향을 주게 될 모든 기준들을 파악,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를 파악
• 프로젝트에 가장 적절한 모든 가용한/가능한 방법론을 규명
• 프로젝트와 관련해 각 PMM을 비교하고 대조
• 성과를 극대화하고 위험을 최소화할 방법론 고려
• 피드백과 동의를 얻음
• 방법론 및 논리적 배경을 문서화
• 방법론을 이행
• 필요 시 모니터링 및 수정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평가 시 포함해야 할 요인들
이 적정 평가 기준들은 프로젝트 내에서 그리고 조직적 개발에서 적용된다. 방법론을 선정할 때에도 이들 동일 기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는 외부 및 내부 기준으로 나눌 수 있고, 각각에 대해 하위 범주가 적절히 추가된다.

최대의 위험 요인은 조직 역량 및 프리페어드니스(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Preparedness)에 속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전에 언급된 여하한 다른 기준들이라도 핵심 프로젝트 요건에 배치된다면 심각한 문제를 낳을 수 있다.

이전에 서술했듯이, PMM은 심지어 동일 회사, 프로젝트 유형 또는 산업 내에서조차 만능일 수 없다. 한 상황에서는 특정 방법론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고, 다른 상황에서는 다른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또는 심지어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이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한 조직에서 한 방법론이 모든 프로젝트에 통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최상의 방법은 간소화된 방법론 평가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이행하여 프로젝트별로 가장 이상적인 접근법을 선정하는 것이다. 유의할 점은 이 프로세스 자체가 비즈니스 상황이 바뀌면서 재평가와 수정을 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 Moira Alexander는 ‘LEAD or LAG: Linking Strategic Project Management & Thought Leadership’의 저자이자, 리드 허 십 그룹(Lead-Her-Ship Group) 설립자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