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By Valeria Letusheva

파이썬 대표 프레임워크 ‘장고’의 개발 트랜드는?··· 장고 개발자 설문조사 2024 핵심

뉴스
2024.05.103분

많은 파이썬 개발자가 여전히 장고를 선호하지만, 최근엔 특정 기능을 활용하거나 새로운 요구 사항에 적응하기 위해 대체 프레임워크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고는 지난 10년 동안 파이썬 개발자에게 사랑받는 프레임워크로 자리잡았다. 지난 12월에 출시된 다섯 번째 버전에서 장고에 더욱 강력하고 간편한 기능을 추가했다. 젯브레인은 최근 장고재단과 협력해서 전 세계 4,000명 개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장고 개발 동향을 분석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가장 인기 있는 웹 프레임워크는 장고로, 74%가 장고를 활용한다고 답했다.
– 장고 개발자 3명 중 1명은 플라스크나 패스트API도 사용했다.
– 장고는 일반적으로 풀스택 및 API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
– 개발자들은 프론트엔드 개발을 위해 HTMX, Alpine.js, 테일윈드로 전환하고 있다.
– 깃허브 액션은 지속적 통합(CI) 영역에서 인기가 높았다.
– 장고 개발자의 39%가 코드형 인프라(IaC)를 구현하다.

소폭 감소한 장고 인기도
74% 개발자가 장고를 선호하는 프레임워크라고 밝혔다. 같은 응답을 한 개발자가 83%였던 것에 비교해 소폭 감소한 셈이다. 이러한 변화는 장고 개발자가 특정 기능을 활용하거나 변화하는 새로운 요구 사항에 적응하기 위해 대체 프레임워크를 모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웹 개발자는 장고, 플라스크, 패스트API를 혼합하여 사용
주로 장고로 작업하는 웹 개발자의 3분의 1은 플라스크(Flask) 또는 패스트API(FastAPI)도 사용하며 다양한 백엔드 기술을 개발하고 있었다. 패스트API는 작년과 동일하게 응답자 25% 사용하고 있었다. 반면, 플라스크의 사용률은 2022년 29%에서 2023년 26%로 소폭 하락했다.

세 가지 프레임워크를 모두 사용하는 장고 개발자는 11%에 불과했다. 개발자는 같은 목적으로 플라스크와 패스트API를 사용하고 있으며, 비동기 기능을 중시한 경우 패스트API를 더 선호하는 사례가 늘고 있었다. 세 프레임워크의 장단점을 파악하려면 장고와 플라스크를 비교한 글 그리고 장고와 패스트API를 비교한 글을 확인해 보길 추천한다.

풀스택 및 API 개발을 선도하는 장고
올해 설문조사에 따르면 풀스택(74%)과 API 개발(60%) 과정에서 장고가 선호되고 있었다. 특히 현직 개발자들 사이에서 API 작업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었다. HTMX의 부상으로 더 많은 개발자가 풀스택 프로젝트에 장고를 다시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HTMX, Alpine.js 및 테일윈드 CSS의 인기 증가
장고 개발자들은 점점 더 HTMX 및 Alpine.js와 같은 더 새롭고 간단한 프레임워크를 선호하고 있었다. HTMX 사용률은 2022년 16%에서 2023년 23%로, Alpine.js는 6%에서 10%로 증가했다. 기존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뷰 19%, jQuery 31%, 리액트 35%)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채택률은 감소하고 있었다.

테일윈드(Tailwind) CSS의 인기는 지난 2년 동안 두 배로 급증했다. 반면 부트스트랩 의 인기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웹 프로젝트에서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고 덜 규범적인 스타일링 접근 방식을 추구하는 테일윈드 CSS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고에서 테일윈드 CSS를 사용하는 방법은 테일윈드 CSS 개발자인 팀 카마닌의 글을 참고해보자.

깃허브 액션: 장고 개발자를 위한 필수 CI 도구
개발 관행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지속적 통합 도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점점 많은 장고 개발자가 지속적 통합 도구를 채택하고 있다.

특히 깃허브 액션의 사용률은 2021년 35%에서 2023년 45%로 크게 높아졌다. 소스 코드 관리를 위한 깃허브 통합, 파이프라인 설정을 위한 간단한 YAML 파일 사용, 하드웨어 구성 사용자 지정 기능 같은 장점으로 개발자는 깃허브 생태계 내에서 소프트웨어 워크플로를 자동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프라를 코드로 수용하는 장고 개발자
코드를 통해 인프라를 자동화하고 관리하려는 트렌드를 반영하듯 현재 39%의 장고 개발자가 IaC(인프라를 코드로)를 사용하고 있었다. IaC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보다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하며 확장 가능한 설정을 제공한다. 특히 응답자 20%가 테레폼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IaC 프로비저닝 도구로 테라폼이 떠오르고 있는 셈이다.

이번 설문조사는 2023년 9월과 10월에 젯브레인과는 별개로 장고프로젝트닷컴( djangoproject.com)과 DSF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포함한 공식 장고 소프트웨어 재단 채널을 통해 약 4,000명의 답변을 수집했다. 응답자의 44%가 유럽 출신이었으며, 응답자 대부분은 21~49세의 연령대에 속했다. 또한 응답자 32%는 11년 이상의 전문 코딩 경력을 보유하고 있었고, 응답자의 79%는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개발 또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직무에 종사하고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장고 개발자 설문조사 2023 공식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필자 Valeria Letusheva는 젯브레인의 제품 마케팅 매니저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