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분야의 조직이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인공지능 도구와 기법에 투자하고 있다.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는 세계적인 기술 대기업을 소개한다.
모든 분야의 조직이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인공지능 도구와 기법에 투자하고 있다.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는 세계적인 기술 대기업을 소개한다.
1. 구글
2016년 컨퍼런스 콜에서 구글 CEO 선다 피차이는 자사 미래 성장 전략에서 인공지능이 중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차이는 “장기적으로 우리는 ‘모바일 우선’에서 ‘AI 우선’ 세계로 컴퓨팅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2014년에 구글은 인공지능 신생벤처였던 딥마인드를 미화 4억 달러에 사들였다. 이후 딥마인드는 지하철역 사이에서 가장 빠른 경로를 찾고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국에서 승리했으며 NHS와 일련의 논란이 되는 계약을 통해 건강 관리를 개선했다.
AI는 검색 알고리즘부터 지메일의 제안된 답장에 이르기까지 구글의 기존 제품에서 오랫동안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구글 어시스턴트는 음성 명령을 해석하는 자연어 처리에 의존하며 새로운 듀플렉스 AI(Duplex AI)는 독립적으로 레스토랑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구글은 자사의 머신러닝 시스템인 텐서플로를 원하는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제공하며, 2017년 7월에는 피플 AI 리서치 인스티튜트(PAIR : People AI Research initiative)라고 하는 AI 시스템과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재설계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 아마존
아마존의 거대한 사업 영역은 추천 엔진부터 창고 관리 로봇까지 어떤 형태로든 통합되어 있다. 아마존의 음성 비서인 알렉사는 신경망을 사용하여 사람의 목소리를 분석하고 적절한 응답을 하며 자연어 처리를 지원한다.
아마존은 시애틀에 ‘아마존고’라는 AI 구동 오프라인 매장의 문을 열었다. 이곳은 계산원이 없는 상점으로 진열대에 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카트에 담고 나면 어떤 상품이 비는지 모니터링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장착돼 있다. 소비자는 상점을 나설 때 앱을 통해서 항목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아마존은 머신러닝을 AWS로도 가져왔다. 고객은 렉스(Lex)를 사용해 대화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폴리(Polly)를 사용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며, 레코그니션(Rekognition)을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에 이미지 분석을 추가하고, 컴프리헨드(Comprehend)를 사용해 텍스트에서 통찰과 관계를 파악하며, 세이지메이커(SageMaker)를 사용해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교육∙배포할 수 있다.
3. 마이크로소프트
2016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오피스, 애저에서 인공지능 및 연구 그룹을 구성했다. 그해 말, 마이크로소프트 벤처스는 인공지능 창업을 위한 새로운 기금을 출범했다. 마이크로소프트 벤처스는 몬트리올에 있는 AI 창업보육센터인 엘레먼트 AI(Element AI)에 처음으로 투자했으며 나중에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 요약을 작성하는 앙골로(Angolo)에 자금을 지원했다.
그 뒤 마이크로소프트는 2018년에만 기술을 기반으로 5개의 회사를 사들이면서 AI 업체 인수를 계속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AI를 사용하여 스카이프의 챗봇에 전원을 공급하고, 오피스 365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며, 애저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고, 코타나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며 검색을 빙의 결과와 일치시킨다.
4. 애플
애플은 앱스토어에서의 사기파악부터 배터리 사용 최적화까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AI를 사용하지만, 이 분야에서 경쟁사보다 뒤처져있다.
따라잡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애플은 최근 구글의 검색 및 인공지능 책임자인 존 지안안드레아를 채용해 머신러닝과 인공지능 전략을 수립했다.
또한 애플은 고객이 광고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면인식 기술인 이모션트(Emotient), 음성 인터페이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보컬 IQ, 적합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실크랩스(Silk Labs)를 비롯한 다양한 인공지능 신생업체에 투자했다.
애플은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고 투명성을 제공하는 데 주력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점하기를 희망한다. 이 회사는 학술 논문에서 AI를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 학습’으로 사용하려는 방법을 설명했다.
5. 페이스북
페이스북의 AML(Applied Machine Learning) 그룹 책임자인 호아킨 키노네로 칸델라는 2017년 컨퍼런스에서 “AI는 페이스북의 제품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그는 “오늘날 AI 없이는 페이스북이 존재할 수 없다”며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이나 메신저를 사용할 때마다 그것을 깨닫지는 못하지만 경험은 AI에 의해 강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AI의 사용은 마크 저커버그가 페이스북 인공지능 연구(FAIR) 그룹을 설립한 2013년 이래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페이스북 뉴스피드에 나타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자동으로 사진에 태그를 추가하며 페이스북의 수십억을 만드는 광고 타겟팅 소프트웨어에 주력하고 있다.
AI는 사회적으로 의식이 있는 것에서부터 윤리적으로 모호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틈새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시각 장애인에게 사진에 대한 음성 설명을 제공하며, 전 세계 인터넷 접속을 주도하고, 자살 위험 징후를 확인하며, 이미지에 누드를 두거나 ‘가짜 뉴스’를 신고하는 데도 사용된다.
6. IBM
AI에 대한 IBM의 가장 주목할만한 투자는 사진, 비디오, 텍스트, 음성에서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 자연어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인지 컴퓨팅 플랫폼인 왓슨이다. 왓슨은 2011년 미국의 퀴즈쇼 ‘제퍼디(Jeopardy)’에서 경쟁자들을 제치고 승리해 주목을 받았다. 그 이후로 보험부터 의료까지 산업 분야에서 큰 호응을 얻었으나 과대광고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7. 우버
우버는 AI를 운임 계산, 승객과의 승차 간격 맞추기, 경로 최적화 등을 우버 AI 연구소에서 실시한 좀더 실험적인 프로젝트에서 사용한다. 이 연구소는 2016년 12월 우버에 인수된 지오메트릭 인텔리전스(Geometric Intelligence) CEO인 게리 마커스가 ‘머신러닝의 경계를 재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버의 최고 제품 책임자인 제프 홀든은 보도자료에서 “최근 몇 년 동안 머신러닝으로 주목할만한 성과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기계 지능의 초기 단계에 머문다”라고 밝혔다.
그는 “지오메트릭 창립자 겸 CEO 게리 마커스의 지휘를 받는 우버 AI 연구소의 설립은 우버의 약속을 대표한다. 실제 세계에서 사람들과 사물을 움직이는 모든 것은 빠르고 안전하며 접근이 용이하다는 우리의 비전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8. 세일즈포스
세일즈포스는 고객 성공 관리 플랫폼에 인텔리전스를 추가하는 통합 AI 기술 집합인 아인슈타인(Einstein)을 통해 고객에게 CRM 소프트웨어에 구현 기능을 통해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회사는 2016년 4월에 딥러닝을 전문으로 하는 신생기업인 메타마인드(MetaMind)를 인수해 인공지능 노력을 강화해 왔다. 인수 전 메타마인드는 자연어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단기 기억으로 실행되는 독특한 시스템을 개발했다.
메타마인드의 설립자이자 세일즈포스의 수석 과학자인 리차드 소처는 “메타마인드와 세일즈포스닷컴이 함께하면 고객 지원, 마케팅 자동화, 기타 여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개인화하는 획기적인 기능을 갖춘 진정한 AI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며 M&A를 발표하는 블로그 게시물에서 밝혔다.
세일즈포스 CEO인 마크 베니오프도 아인슈타인을 이용해 비즈니스 전략을 지원하고 있다. 베니오프는 2017년 컨퍼런스 콜에서 “나는 아인슈타인과 이야기하고 아인슈타인에게 내가 집중해야 하는 제품 영역, 내가 집중해야 할 지역, 분기 동안 예약의 선형성 등 모든 것을 요구할 능력이 있다. 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질문은 아인슈타인에게 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9. 스포티파이
스포티파이(Spotify)는 AI를 사용하여 동작을 분석하는 협업 필터링, 텍스트를 해석하는 자연어 처리 및 노래 음향을 검토하는 오디오 모델을 통해 유명한 음악 추천을 강화한다.
이 회사는 맞춤형 TV 및 영화 추천을 위해 틴더(Tinder) 방식의 스와이프 기능을 사용하는 앱 제작자인 마이티TV(MightyTV)를 비롯해 API를 통한 검색 및 추천의 정확성을 높이는 닐랜드(Niland)를 비롯해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신생기업을 창업했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