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ID, 신호 강도, 채널, 맥 어드레스, 보안 상태 및 여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무료 유틸리티를 정리했다.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9가지 툴을 소개한다. 이들 툴은 SSID, 신호 세기, 채널, MAC 주소, 보안 상태 등 기본적인 무선 인터넷 세부 정보를 제공해준다. 개중에는 ‘숨겨진,’ 혹은 비공개 SSID, 노이즈 레벨, 무선인터넷 연결 성공 및 실패 통계 등을 보여주는 툴도 있고, 특히 2가지 툴의 경우 와이파이 비밀번호 크래킹 기능이 있다. 교육용 혹은 침투 테스트 용도로 쓰기에 적당하다.
아크릴릭 와이파이(Acrylic WiFi, 윈도우)
탈로직 시큐리티(Tarlogic Security)의 아크릴릭 와이파이 프리(Acrylic WiFi Free)는 비 판매용 무료 버전과, 좀 더 많은 기능이 추가된 유료 버전으로 나뉜다. 두 버전 모두 더 많은 트래픽을 캡쳐할 수 있는 모니터 모드와 함께, 패스워드 보안을 점검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패스워드 크래킹 기능을 제공한다.
무료 버전은 심플하면서도 유저 친화적인 GUI를 자랑한다. 애플리케이션 상단부에서 언제나 SSID 리스트 및 그와 관련된 디테일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이너스 RSSI를 위한 dBm값이 표시되며, 802.11ac 구별이 가능하고, 더 넓은 대역폭 및 복수의 채널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캡쳐된 패킷에서 발견된 비공개 SSID를 모두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트위터에 스크린 샷을 포스팅 할 수 있는 기능을 제외하면 별도의 저장 기능이나 송출 기능은 없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아크릴릭 와이파이는 다양하고 풍부한 기능을 자랑하는 와이파이 탐색(Wi-Fi stumbler) 툴이라 할 수 있다.
에어그랩 와이파이 레이더(AirGrab WiFi Radar, 맥 OS X)
에어그랩 와이파이 레이더는 맥 기반의 무료 와이파이 스텀블러 툴이다. 그리고 어디까지나 선택사항이긴 하지만, 스내그 스크린(snag screen)을 없애려면 무료 등록 절차를 밟아야 한다.
GUI에 표기되는 네트워크 및 그래프는 다른 여타 스텀블러들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좌측 상단에는 감지된 SSID 리스트와 함께 MAC 주소와 채널만이 표기된다. 그 외 다른 디테일을 보려면 각 엔트리를 직접 클릭해야 한다. 이러한 와이파이 디테일 외에도 노이즈 레벨이 표기되기 때문에 무선 서베이 또는 트러블 슈팅 시 유용하다.
스크린 우측 상단에는 채널 이용 그래프가 표기된다. 에어그랩 와이파이 레이더는 특히 노이즈 레벨 표기 기능을 제공해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시그널-노이즈 비율을 알 수 있으므로 문제 탐색 및 문제 해결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네트워크 리스트와 채널 그래프 모두 저장 및 송출이 가능하다.
카인 & 아벨 (Cain & Abel, 윈도우)
카인 & 아벨은 다목적 패스워드 복원 및 크래킹 애플리케이션으로, 와이파이 스텀블링, 스니핑(sniffing) 및 크래킹(cracking) 기능도 지원한다. 아크릴릭 와이파이와 마찬가지로, 카인 & 아벨 역시 트래픽을 캡쳐 할 수 있는 모니터 모드를 갖추고 있다.
카인 & 아벨은 비교적 고전적이고 심플한 외양과 툴 바를 자랑한다. 무선 탭에서 와이파이 스텀블러 기능을 찾을 수 있다. SSID 및 시그널 정보 외에도 연결 중인 클라이언트의 리스트 및 디테일을 확인할 수 있다.
아크릴릭 와이파이처럼, 카인 & 아벨 역시 패킷에서 발견된 숨겨진 SSID가 GUI에 모두 표기된다. 캡쳐 된 데이터 및 상태 정보는 대부분 텍스트 파일로 송출할 수 있다. 단, 그래프가 적고 802.11ac 액세스 포인트와 더 넓은 채널 폭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점 때문에 일반적인 와이파이 스텀블링 및 서베이 목적으로는 부적합 할 수 있다. 그러나 침투 테스팅에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카하우 힛매퍼(Ekahau HeatMapper)
힛매퍼는 네트워킹 디자인 툴메이커 이카하우(Ekahau)의 와이파이 사이트(Wi-Fi Site) 및 서베이 플래너(Survey Planner)의 무료 버전이다. 근방 전파의 그래픽 오버뷰를 제공하며 탐지된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보안 설정에 관한 정보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이 툴의 가장 큰 단점이라면 이 앱이 a/b/g/n 무선 인터넷을 감지할 수 있다고만 언급하고 있어 과연 이것이 802.11ac를 지원하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윈도우 전용이다.
홈데일(Homedale, 윈도우)
홈데일은 비교적 간결한 윈도우 기반 스텀블러로,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본적인 네트워크 및 시그널 디테일을 표시해주는 것 외에도 GPS나 여타 위치 기반 로깅 기능을 지원한다.
홈데일은 복수 탭 다이얼로그 박스와 더 유사한 GUI를 갖추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 탭에서는 대부분의 네트워크 디테일을 확인할 수 있다. 단, 숨겨진 SSID 탐지는 불가능하며 해당 네트워크 관련 디테일만을 표기해준다.
홈데일은 각 SSID에 대해 시그널 레벨을 선형 그래프로 표기해 주지만, 채널 이용을 가시적으로 나타내주는 그래프는 없다. 홈데일은 위치 기반 스텀블러를 필요로 하는 사람, 특히 그 결과를 로깅 또는 저장해야 할 때 유용할 것이다.
리저드시스템의 와이-파이 스캐너(LizardSystems Wi-Fi Scanner, 윈도우)
리저드시스템은 비상업적 이용에 한하여 와이-파이 스캐너(Wi-Fi Scanner) 애플리케이션의 무료 에디션을 제공하고 있다. 유료 에디션을 구매할 경우 더 많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유틸리티는 와이파이 스텀블링 외에도 특정 네트워크 패킷과 관련된 통계 및 그래픽을 제공한다. 단, 무료 에디션의 경우 첫 30일 동안만 제공되는 기능임에 유의해야 한다.
현대적인 느낌을 주는 GUI는 직관적이고 간결해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스크린 간에 두 개의 탭을 전환할 수 있으며 패킷 디테일과 무선 인터넷 정보가 표기된다. 전반적으로 볼 때, 와이-파이 스캐너는 일반적인 서베이 목적에 적합한 툴이다. 그러나 조사 결과를 저장하거나 송출할 수 없으며, 숨은 SSID를 공개하거나 802.11ac를 완전하게 인식할 수는 없다.
와이어리스 넷뷰(WirelessNetView, 윈도우)
와이어리스 넷뷰는 니르소프트(NirSoft)의 프리웨어로, 상업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유틸리티다. 매우 심플한 윈도우 기반 와이파이 스텀블러로써, 인스톨 형태 뿐 아니라 포터블 형태로도 다운로드 가능하다.
신호 세기에 마이너스 dBm 값까지 전부 표시되며 퍼센티지의 경우 수신된 마지막 신호 값과 평균 오버타임을 표기한다. 와이어리스 넷뷰만의 또 다른 특징은 SSID의 감지 빈도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 형태로 송출할 수 있다.
단, 그래프나 숨은 SSID 탐지, 802.11ac 완전 지원, 넓은 채널폭을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의 전 채널 인지 등과 같은 고급 기능은 지원되지 않는다.
와이어리스 다이애그노스틱스(Wireless Diagnostics, 맥 OS X 라이언 이후 버전)
맥 OS X 마운틴 라이언 10.8.4 또는 그 이후 버전에서 이용 가능한 애플의 와이어리스 다이애그노스틱스 툴은 단순한 스텀블러가 아니다. 와이파이 문제를 탐지, 수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다. 무엇보다 OS에 포함된 네이티브 툴이라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옵션 키를 누르고 에어포트/와이파이 아이콘을 선택한다. 이렇게 하면 와이어리스 다이애그노스틱스 단축키가 생성됨과 동시에 현재 와이 파이 연결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와이어리스 다이애그노스틱스를 실행 시 문제를 탐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테스트가 시작될 것이다. 또 윈도우>유틸리티 탭에서 다른 무선 툴에 액세스 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 와이파이 연결과 환경 정보를 확인하고, 프레임 캡쳐를 하거나, 로깅 설정, 네트워크 디테일 스캔이 가능하며 노이즈 및 SNR 값 등 퍼포먼스 정보를 열람 할 수도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애플의 와이어리스 다이애그노스틱스 튜토리얼을 참조해 확인할 수 있다.
자이러스 와이-파이 인스펙터(Xirrus Wi-Fi Inspector)
와이-파이 인스펙터는 주변에서 탐지 가능한 모든 핫스팟의 자세한 분석을 제공함과 동시에 영화 ‘에일리언’에 나오는 것과 유사한 ‘레이더’ 디스플레이를 자랑한다. 물론 전자의 특징이 이 제품을 인상 깊게 만드는 가장 큰 이유다. 뿐만 아니라 풍부한 네트워크 디테일을 제공한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ciokr@id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