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테크 기업 원티드랩은 1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장애인 의무고용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과 실제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지난달 9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 기업의 34%가 장애인 고용 기업인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고용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장애인 의무고용법 준수’가 75.8%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직무에 적합한 인재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24.2%로 나타났다.
고용 직군을 살펴보면, ▲일반직군(사업/개발/디자인/마케팅 등)이 33.3%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단순노동(24.2%) ▲사무보조(21.2%) ▲특수직군(바리스타/안마사 등)(12.1%)이 이었다.
그렇다면 기업들이 장애인을 채용 시 중요하게 보는 기준은 무엇일까. 기업의 45.5%가 직무 관련 업무 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구분(신체, 지체 등)과 장애 정도(급수)를 고려한다는 응답은 각각 27.3%였다.
직무 교육 과정을 통해 업무 역량이 검증될 경우, 93.9%의 기업이 장애인을 적극적으로 채용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교육을 통해 장애인 직원의 업무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장애인 고용 시 선호하는 직군을 살펴봤을 때, 약 삼분의 일이 넘는 응답자(36.4%)가 특정 직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음으로는 ▲일반직군(21.2%) ▲단순노동(18.2%) ▲사무보조(15.2%) ▲특수직군(6.1%) 순이었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장애인의 장애 정도보다 직무 역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뜻한다.
원티드랩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새 DEI(다양성(Diversity)·형평성(Equity)·포용성(Inclusion)) 가치가 주목받으면서 장애인 고용에 대한 논의도 다시금 활발해지고 있지만, 기업의 활발한 장애인 고용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현실적인 문제가 많다”라며 “원티드랩은 이번 설문 조사를 비롯해 장애인 고용 시 채용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등 장애인 고용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활동을 고민하고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