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연구원이 AI 모델 ‘엑사원(EXAONE) 3.0’을 오픈소스로 7일 공개했다.
LG AI연구원은 “AI 연구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엑사원 3.0’ 모델 중 성능과 경제성에 있어 가장 활용도가 높은 ‘경량 모델’을 연구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공개를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LG AI연구원은 2021년 12월 대형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엑사원 1.0’을 발표한 이후 2023년 7월 ‘엑사원 2.0’을 공개하는 등 3년간 생성형 AI를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해 왔다.
LG AI연구원에 따르면, 이번에 선보이는 ‘엑사원 3.0’은 성능과 경제성을 높이는 데 집중한 모델이다. ‘엑사원 3.0’은 이전 모델인 ‘엑사원 2.0’ 대비 추론 처리 시간은 56%, 메모리 사용량은 35% 줄이고 구동 비용은 72% 절감하는 등 성능과 경제성 모두 뛰어난 결과를 보였다.
LG AI연구원은 “AI로 인해 촉발된 소비 전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량화·최적화 기술 연구에 집중해 초기 거대 모델 대비 성능은 높이면서도 모델 크기는 100분의 3으로 줄였다”라고 밝혔다.
‘엑사원 3.0’은 특허와 소프트웨어 코드, 수학, 화학 등 국내외 전문 분야 데이터 6,000만 건 이상을 학습했다. LG AI연구원에 따르면, ‘엑사원 3.0’은 사용성을 비롯해 코딩과 수학 영역 등 13개 벤치마크 점수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해 메타의 라마(Llama) 3.1, 구글의 젬마(Gemma) 2 등 동일 크기의 글로벌 오픈소스 AI 모델과 비교했을 때 높은 성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한국어와 영어를 학습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중언어(Bilingual) 모델로 ‘엑사원 3.0’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LG AI연구원은 연말까지 법률, 바이오, 의료, 교육, 외국어 등 분야를 확장해 학습 데이터양을 1억 건 이상으로 늘려 ‘엑사원 3.0’의 성능을 더 끌어올릴 계획이다.
‘엑사원 3.0’은 하반기부터 LG 계열사의 제품과 서비스에 본격 적용된다. LG 계열사는 각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로 ‘엑사원 3.0’을 최적화(Fine Tuning)하고, 사업과 제품, 서비스 특성에 맞게 이를 적용해 혁신 속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만큼 특화된 성능과 경제성을 갖춘 엑사원으로 LG 계열사와 외부 기업 및 기관과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특히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자체 개발한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해 학계, 연구 기관, 스타트업 등이 최신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방형 AI 연구 생태계 활성화와 더 나아가 국가 AI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LG는 7일부터 임직원을 대상으로 ‘챗엑사원(ChatEXAONE)’ 베타 서비스를 본격 지원한다. ‘챗엑사원’은 ‘엑사원 3.0’을 기반으로 만든 생성형 AI 서비스로 ▲실시간 웹 정보 기반 질의응답 ▲문서, 이미지 기반 질의응답 ▲코딩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업무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LG는 2020년 12월 그룹 AI 연구의 싱크탱크인 ‘LG AI연구원’을 설립한 후 지난 4년간 AI 전환 가속화를 추진하며 생산 공정, 소재 및 제품 개발, 고객 서비스 개선 등 각 계열사 사업 현장에 AI 기술 적용 사례를 늘려가고 있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