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이지현
Senior Editor

어떤 LLM이 더 낫지?··· 아서, AI 모델 비교·분석 도구 ‘아서 벤치’ 오픈소스로

뉴스
2023.08.182분

머신러닝 모니터링 스타트업 아서(Arthur)가 생성형 AI 모델을 비교해주는 ‘아서 벤치(Arthur Bench)’를 오픈소스 형태로 17일 공개했다.

머신러닝 모니터링 스타트업 아서(Arthur)가 생성형 AI 모델을 비교해주는 ‘아서 벤치(Arthur Bench)’를 오픈소스 형태로 17일 공개했다. 

예를 들어 아서는 자체적으로 모델을 비교 분석하는 ‘GAP(The Generative Assessment Project)’라는 연구 프로젝트를 운영한 결과, ‘신뢰성’을 중요한 영역에서는 앤트로픽이 오픈AI의 비해 약간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수학 문제 답을 구할 때는 오픈AI의 GPT-4가 우수하지만, 역사 문제 답을 찾을 때는 앤트로픽의 클로드-2(Claude-2) 모델이 이 더 낫다는 것이다. 클로드-2가 환각 현상을 피하고 답하기 어려운 문제는 적절하게 ‘모르겠다’라고 출력하기 때문이다.

아서 공동 설립자 겸 CEO 아담 웬첼(Adam Wenchel)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GAP 연구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LLM 간의 성능 차이를 이해하면 엄청난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LLM 제공업체 간의 차이점, 다양한 프롬프트 사용 및 확대 전략, 맞춤형 학습 구조를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아서 벤치를 오픈 소스 형태로 만들었다”라고 설명했다. 

아서 벤치 사용자는 아서가 제시한 기본 기준을 가지고 모델을 평가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기업이 직접 특정 조건을 추가해 비교 분석할 수도 있다. 웬첼은 테크크런치와의 인터뷰에서 “고객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가장 적합한 모델이 무엇인지 고민된다고 자주 말했으며, 아서 벤치가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100개의 질문을 여러 AI 챗봇에 입력하고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 직접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jihyun_lee@idg.co.kr

이지현

2022년부터 CIO 코리아 책임 기자로 일하며 AI,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등 주요 기술 이슈에 대한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IT 리더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와 리더십 취재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현장을 찾아 업계 흐름을 생생하게 전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한국IDG가 주관하는 콘퍼런스와 조찬 세미나에도 참여하며, 국내 IT 리더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만드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CIO 코리아 합류 전에는 2013년부터 기술 전문 매체 블로터에서 IT 기자로 활동했으며, 그보다 앞서 한국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미국 뉴욕에서 1년간 프로그래머 인턴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습니다. 현재도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이어가며, IT 업계에 종사하는 분들을 늘 응원하는 마음으로 취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저자의 추가 콘텐츠